저는 지금 9/10-23의 일정으로 ISO-HR표준화 작업을 위해서 캐나다 몬트리올에 와 있습니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ISO는 지금까지 산업 품질과 관련한 인증서를 배부해 왔습니다. 그러다가 2천년도에 들어서면서 UN의 지침을 이행하기 위하여 ESG관련한 인증을 발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ISO에 최근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HR분야의 표준화 작업입니다. 기술품질을 다루는 ISO에 갑자기 왜 HR바람이 부는 걸까요?

(左: 표준화작업 회의장 모습, 右: 영국대표 캐나다 대표와 함께)
ISO내에 소속된 산업별 위원회를 TC(Technical Committee)라고 부릅니다. HR분야의 표준작업을 위해 신설된 위원회가 TC260이며 지금 몬트리올에서는 TC260의 HR표준화 작업이 한창 진행중에 있습니다. 어떤 것들을 다루고 있는지 잠시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ISO-30407:2017 Cost-Per-Hire
CPH(고용당 비용)의 목적은 조직에서 공석을 채우는 데 드는 노력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ISO-30407:2017은 대표적인 데이터 세트 생성, 투명한 데이터 소스 사용, 데이터 오류 최소화, 데이터 입력 시 프로세스에 대한 주기적인 감사 보장 등 품질과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CPH를 계산할 때 취해야 할 조치를 설명합니다.
2. ISO-24178:2021 Organizational culture metrics cluster
이 문서는 조직문화의 요소를 설명하고 내부 및 외부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측정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조직문화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3. ISO-30410:2018 Impact of hire metric
- 인력분할 접근법을 사용하여 중요한 위치를 결정하는 원칙
- 조직의 가치창출과 성과에 있어 중요한 직책과 해당 직위에 고용된 사람들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 문서는 규모, 산업 또는 부문에 관계없이 모든 조직의 요구에 맞게 확장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으며 인력계획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관련성이 있습니다. 조직설계 및 개발; 인재관리, 승계계획 및 채용 등에 대한 인적자본 보고입니다.
4. ISO-30411:2018 Quality of hire metric
이 문서는 다양한 비즈니스 및 조직 조건에 맞춰 채용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고용영향’ 및 ‘고용유지’는 별도의 기술 사양 문서에서 다루기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측정을 제외합니다. QoH는 규모, 산업 또는 부문에 관계없이 모든 조직의 요구사항에 맞게 확장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인력계획, 조직설계 및 개발, 인재관리 승계계획, 채용 및 인적자본 보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5. ISO-30421:2021 Turnover and retention metrics
이 문서에서는 인력 이직 및 유지 요소를 설명하고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를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이직률 및 유지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6. ISO-30423:2021 Compliance and ethics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규정준수 및 윤리의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규정준수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7. ISO-30425:2021 Workforce availability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조직의 인력 가용성 측정 요소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규정 준수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이 문서는 영구 및 임시 인력의 작업 능력과 관련이 있으며 특정 작업 노력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에 할당된 작업, 기술 또는 적합성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ISO 30409에서 다루어집니다.
8. ISO-30427:2021 Costs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조직 인력비용의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비용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9. ISO-30428:2021 Skills and Capabilities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기술과 역량에 대한 5가지 지표를 설명하고 정의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각 측정항목에 대한 공식을 제공하고 5개 측정항목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측정항목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기술 및 역량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10. ISO-30430:2021 Recruitment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채용, 이동성 및 이직률 클러스터의 채용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이 문서는 또한 채용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채용결정을 내릴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11. ISO-30431:2021 Leadership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리더십 지표 클러스터의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리더십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12.ISO-30432:2021 Workforce productivity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인력 생산성 지표 클러스터의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생산성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13.ISO-30433:2021 Succession planning metrics cluster
이 문서는 승계계획 지표의 요소를 지정하고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측정값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승계계획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에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상기의 ISO인증에 대한 표준화작업, 즉 가이드라인을 신설하고 있는 중입니다. 재밌지 않나요? 기술문제만 다루던 ISO에서 기업 구성원들과 관련한 표준화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건 그 만큼 사람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그런데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TC260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거의 대부분 유럽 북미의 선진국 사람들이라는 점입니다. 다른 ISO표준화 작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표준을 제정하고 그 표준을 따르지 않으면 안 되는 설계서를 만들고 있는 이들이 바로 유럽 북미 국가들이라는 점입니다. 후진국은 아무 이유없이 영문도 모른채 따라가는 상황으로 내 몰리게 되겠지요. 마치 ESG처럼……
위에 열거한 ISO-HR시리즈들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서는 시간을 갖고 천천히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아니,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HR이 잘 정비된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하루빨리 저 인증서가 교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좋은 기업들이 적어도 HR관리에 있어서는 최대한 자부심을 갖고 채용활동 홍보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을 할 생각입니다. 관심을 갖고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전합니다.

(左: 프랑스 대표, 右: 워킹그룹 리더들과 함께)

저는 지금 9/10-23의 일정으로 ISO-HR표준화 작업을 위해서 캐나다 몬트리올에 와 있습니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ISO는 지금까지 산업 품질과 관련한 인증서를 배부해 왔습니다. 그러다가 2천년도에 들어서면서 UN의 지침을 이행하기 위하여 ESG관련한 인증을 발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ISO에 최근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HR분야의 표준화 작업입니다. 기술품질을 다루는 ISO에 갑자기 왜 HR바람이 부는 걸까요?
(左: 표준화작업 회의장 모습, 右: 영국대표 캐나다 대표와 함께)
ISO내에 소속된 산업별 위원회를 TC(Technical Committee)라고 부릅니다. HR분야의 표준작업을 위해 신설된 위원회가 TC260이며 지금 몬트리올에서는 TC260의 HR표준화 작업이 한창 진행중에 있습니다. 어떤 것들을 다루고 있는지 잠시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ISO-30407:2017 Cost-Per-Hire
CPH(고용당 비용)의 목적은 조직에서 공석을 채우는 데 드는 노력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ISO-30407:2017은 대표적인 데이터 세트 생성, 투명한 데이터 소스 사용, 데이터 오류 최소화, 데이터 입력 시 프로세스에 대한 주기적인 감사 보장 등 품질과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CPH를 계산할 때 취해야 할 조치를 설명합니다.
2. ISO-24178:2021 Organizational culture metrics cluster
이 문서는 조직문화의 요소를 설명하고 내부 및 외부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측정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조직문화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3. ISO-30410:2018 Impact of hire metric
- 인력분할 접근법을 사용하여 중요한 위치를 결정하는 원칙
- 조직의 가치창출과 성과에 있어 중요한 직책과 해당 직위에 고용된 사람들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 문서는 규모, 산업 또는 부문에 관계없이 모든 조직의 요구에 맞게 확장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으며 인력계획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관련성이 있습니다. 조직설계 및 개발; 인재관리, 승계계획 및 채용 등에 대한 인적자본 보고입니다.
4. ISO-30411:2018 Quality of hire metric
이 문서는 다양한 비즈니스 및 조직 조건에 맞춰 채용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고용영향’ 및 ‘고용유지’는 별도의 기술 사양 문서에서 다루기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측정을 제외합니다. QoH는 규모, 산업 또는 부문에 관계없이 모든 조직의 요구사항에 맞게 확장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인력계획, 조직설계 및 개발, 인재관리 승계계획, 채용 및 인적자본 보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5. ISO-30421:2021 Turnover and retention metrics
이 문서에서는 인력 이직 및 유지 요소를 설명하고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를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이직률 및 유지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6. ISO-30423:2021 Compliance and ethics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규정준수 및 윤리의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규정준수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7. ISO-30425:2021 Workforce availability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조직의 인력 가용성 측정 요소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규정 준수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이 문서는 영구 및 임시 인력의 작업 능력과 관련이 있으며 특정 작업 노력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에 할당된 작업, 기술 또는 적합성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ISO 30409에서 다루어집니다.
8. ISO-30427:2021 Costs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조직 인력비용의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비용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9. ISO-30428:2021 Skills and Capabilities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기술과 역량에 대한 5가지 지표를 설명하고 정의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각 측정항목에 대한 공식을 제공하고 5개 측정항목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측정항목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기술 및 역량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10. ISO-30430:2021 Recruitment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채용, 이동성 및 이직률 클러스터의 채용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이 문서는 또한 채용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채용결정을 내릴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11. ISO-30431:2021 Leadership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리더십 지표 클러스터의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리더십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12.ISO-30432:2021 Workforce productivity metrics cluster
이 문서에서는 인력 생산성 지표 클러스터의 요소를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조치에 대한 공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생산성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 이해관계자(예: 규제 기관, 투자자)에게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13.ISO-30433:2021 Succession planning metrics cluster
이 문서는 승계계획 지표의 요소를 지정하고 내부 및 외부 보고에 대한 비교 가능한 측정값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승계계획 데이터를 해석할 때, 특히 내부적으로 적절한 개입을 결정할 때와 이를 외부에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강조합니다.
상기의 ISO인증에 대한 표준화작업, 즉 가이드라인을 신설하고 있는 중입니다. 재밌지 않나요? 기술문제만 다루던 ISO에서 기업 구성원들과 관련한 표준화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건 그 만큼 사람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그런데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TC260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거의 대부분 유럽 북미의 선진국 사람들이라는 점입니다. 다른 ISO표준화 작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표준을 제정하고 그 표준을 따르지 않으면 안 되는 설계서를 만들고 있는 이들이 바로 유럽 북미 국가들이라는 점입니다. 후진국은 아무 이유없이 영문도 모른채 따라가는 상황으로 내 몰리게 되겠지요. 마치 ESG처럼……
위에 열거한 ISO-HR시리즈들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서는 시간을 갖고 천천히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아니,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HR이 잘 정비된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하루빨리 저 인증서가 교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좋은 기업들이 적어도 HR관리에 있어서는 최대한 자부심을 갖고 채용활동 홍보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을 할 생각입니다. 관심을 갖고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전합니다.
(左: 프랑스 대표, 右: 워킹그룹 리더들과 함께)